텃밭 속의 작은 정원

가을에 만난 라이너 마리아 릴케-Ⅱ

心田農夫 2016. 10. 20. 18:03



                                                                     알베르트  비어슈타트 <록키 산맥>




                                        스스로 낫는 힘

 

                                         우리가 입은 신체적 손상은

                                         기껏해야 원상복구가 최선의 결과다.

                                         하지만 마음의 상처는 치유하기에 따라서

                                         성장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평소의 자생력과 면역력을 갖춰놔야

                                         상처를 덜 받을 수 있다.

                                     - 최 명기의 트라우마 테라피중에서-



                                                                                   존 컨스터블 <수문>



가을은 봄부터 가꾸었던 곡식을 추수하는 계절이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도 만나는 횟수를 거듭하다 보면 아름다운 추억이라는 결실이 송골송골 맺어져 거두어 드려야 하는 이 이 가을이 아니겠는가?

 

올 여름 유난히도 더운 기후가 사람을 괴롭게 하는 가운데 나에게 그 더위보다 더 괴로운 두 가지의 상처가 마음에 새겨졌다. 아팠던 두 상처가 아물려고 하는 이 시점에 다시 그 가운데를 후비고 다른 상처가 자리를 한다.

 

이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이 사람이라 하더니 요즈음 그런 생각을 다하게 된다. 살다보면 혼자여서 고독하다는 생각도 들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사회를 떠나서 살 수 없다는 것이 아니던가. 그러니 당연히 사회 속에서 살면서 싫든 좋든 사람과의 만남이 지속된다.

 


                                                           데오도르 루소 <풍텐블로의 숲, 아핌>


             

                                           고독


                                          R. M. 릴케

 

                                      고독은 비와 같다.

                                      저녁을 향해 바라에서 올라와

                                      멀리 떨어진 광야에서

                                      언제나 적적한 하늘로 올라간다.

                                      그리하여 비로소 도시 위에 떨어진다.

 

                                      밤도 낮도 아닌 박명에 비는 내린다.

                                      모든 골목이 아침으로 향할 때.

                                      아무것도 찾지 못한 육체와 육체가

                                      실망하고 슬프게 헤어져 갈 때.

                                      시새우는 사람들이 함께

                                      하나의 침대에서 잠자야 할 때

 

                                      그 때 고독은 강물 되어 흐는다‥‥.

 

 

 

                                                                              빈센트 반 고흐<해바라기>



사람을 한번 만나고 두 번 만나다 보면 친밀감이 쌓여가고 그러다 보면 새록새록 정이 들기 마련인데, 그 정을 이용해 자신의 이기적 욕심을 채우려는 부류가 있다. 그것으로 상대가 상처를 입는다는 생각은 눈곱만큼도 없다는 듯이 천역덕스럽게 행동을 한다.

 

이 가을 그래서 현제를 사는 사람보다는 지난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과 함께 이 가을을 보내려 한다. 온라인이라는 것이 면대 면을 할 수 없는 가상공간에서 만남이라면 지난세월 살았던 사람들이 적어 놓은 책과의 만남은 시대를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만남이기에 시간의 제한을 받는 인간으로서 시간을 초월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어 참으로 좋다.

 

이제 그 모습은 보이지 않는 옛사람. 괴테 이후 독일 문학계 최고의 시인이라 불리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함께 낙엽이 떨어져 뒹구는 포도(鋪道)위를 걸으면서 사각사각 속삭이는 낙엽의 일생 스토리를 함께 귀담아 들으면서 가을 한적한 길 걷는다.




                        츠고하루 후지타 <공원의 어린 소녀>





28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