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17

진정한 친구란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입니다. 함께 비를 맞지 않는 위로는 따뜻하지 않습니다. 위로는 위로를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가 위로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기 때문입니다. 신영복의 『처음처럼』, , 인용 위 작품은 신영복의 『처음처럼』에 실려있는 것임. 얼마 전에 퇴근길 차를 운전하는 중에 서울에 있는 친구에게 전화가 왔다. 서울과 포항이라는 거리가 거의 연락이 없이 살아오다 자녀들 결혼식을 앞두거나, 누군가의 장례가 있을 때는 소식을 전하고는 했는데, 누님과 아내와 함께, 서울에서 출발하여 포항을 거쳐 통영에 들렀다. 부신을 들려 강원도를 거쳐서 서울로 간다며 포항의 해돋이 명소인 호미곶을 들리려고 하는데 가는 길에 포항에 있는 나를 잠시 만나고 가겠..

죽음이 두려운 이유

신은 음주와 똑같이 즐거운 도피 수단이다. 마음이 도망가 숨을 때 신과 음주는 별로 다르지 않다. 사회학적으로 음주는 아마 별로 좋은 건 아닐 것이다. 신에게로 도망가 숨는 것도 또한 좋을 게 없다. 대부분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고 그래서 윤회와 부활을 믿거나 몇몇 다른 형태의 신앙에 매달린다. 그러나 죽음이 무엇인지 전정으로 알고 싶은 사람은 신앙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그저 받기만 하는 것은 미숙한 것이다. 죽음이 무엇인지 알아내려면 심리적으로 어떻게 죽는지 알아야 한다. 우리는 대개 죽음이라는 사실을 절대 들여다보지 않고 그 속에 함축된 놀라운 것들을 좀처럼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차라리 내세가 있다는 믿음을 통해 달아나거나 윤회사상에 매달리기를 더 좋아한다. 우리는 이렇게 위안을 주는..

책을 보다 문득

아테네 시민은 유죄투표로 소크라테스를 죽였다. 민주주의를 내세워 한국 국민은 주권 행사로 막무가내 왕을 선출했다. 민주주의를 파괴하며 한가한 시간에 책을 보노라니 무척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기원전 399년 아테네에서 일어났던 일과 21세기인 2022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일이 다르면서도 한편 흡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멜레토스의 고발로 법정에 세워진 소크라테스의 유무죄를 묻는 투표의 표 차이가 30만 표가 났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나는 표 차가 크게 났으면 났지 그렇게 근소한 줄은 몰랐습니다. 보아하니, 30만 표만 방향을 바꾸었으면 나는 무죄 방면되었을 것 같기도 합니다”라고 말한다. 아테네 인들은 그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현자인 소크라테스를 죽음으로 내본 것으로 21세기 이 시점까지 세계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