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 그리고 그 속의 이야기

나이드니 서운함이 늘어가네

心田農夫 2017. 3. 15. 11:51


                                         미라보 다리


                                                                       기욤 아폴리네르

 

                                                  미라보 다리 아래 센 강이 흐르고

                                                  우리 사랑도 흐르는데

                                                  나는 기억해야 하는가

                                                  기쁨은 언제나 슬픔 뒤에 온다는 것을

 

                                                  밤이 오고 종은 울리고

                                                  세월은 가고 나는 남아 있네

 

                                                  서로의 손잡고 얼굴을 마주하고

                                                  우리들의 팔로 엮은

                                                  다리 아래로

                                                  영원한 눈길에 지친 물결들 저리 흘러가는데

 

                                                  밤이 오고 종은 울리고

                                                  세월은 가고 나는 남아있네

 

                                                  사랑이 가네 흐르는 강물처럼

                                                  사랑이 떠나가네

                                                  삶처럼 저리 느리게

                                                  희망처럼 저리 격렬하게

 

                                                  밥이 오고 종은 울리고

                                                  세월은 가고 나는 남아 있네

 

                                                  하루하루가 지나고 또 한 주일이 지나고

                                                  지나간 시간도

                                                  사랑도 돌아오지 않네

                                                  미라보 다리 아래 센 강이 흐르고

                                                  밤이 오고 종은 울리고

                                                  세월은 가고 나는 남아 있네 

                         

                                     <선물 받은 시집에 있는 시>

 

 

                                                반 고흐 작.  <빨래하는 여인들이 모여 있는 랑굴루아 다리>  1888년 3월




작년 생일날에는 주말을 이용하여 두 딸이 내려와 생일을 이틀 앞당겨 축하를 받고 선물도 받았는데, 생일이라야 케이크에 촛불 켜고 생일축하 노래 부르고 훅, 입 바람으로 촛불 끄고 케이크 나누어 먹으며 딸들이 준비한 선물 받고 저녁에는 외식하는 것이 다이지만, 이번 생일날에는 두 딸아이가 내려오지도 않았고 생일 당일에 전화로 아빠 생신 축하해요.”하는 말로 생일을 지냈다.


                           <딸아이가 생일 선물로 전해준 재킷>



두 딸이 내려오지 않은 것은 생일 며칠 후 서울에 사는 조카의 결혼식이 있어서 서울에 갈 일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라고 이해는 하면서도 그래도 주말을 이용해 잠시 다녀가도 될 텐데 하는 마음과 요즈음 택배 서비스가 얼마나 잘되어 있는가. 그래도 선물이라도 보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달랑 전화 한 통화로 넘어가다니,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생일 선물로 받은 시집 앞 표지>


 

그날 저녁 집사람과 둘이서 외식을 하는 것으로 생일날 하루가 저물었지만, 두 딸에 대한 서운함은 하루 종일 마음에 둥둥 떠 있다가 저녁이 되어서야 찌꺼기 가라앉듯 가라앉았다. 그렇게 생일은 지나가고 며칠 후에 상경하여 조카의 결혼식을 마치고 광화문 촛불집회에 참석을 하고 아이들의 집으로 들어가 씻고 나오니 큰아이 방에 케이크가 준비되어 있었다.

  


                             < <생일 선물로 받은 시집 뒤 표지>



케이크에 촛불 켜고 축하 노래 부르고 케이크 절단하는데, 첫째 딸아이가 아빠가 제일 좋아하는 책, 시집 준비했어요. 하면서 작은 종이쇼핑백을 내미는데, 재킷과 시집이 담겨 있었다. 쇼핑백을 건네받으며 이렇게 속 깊은 아이들에게 서운한 감정을 가졌다는 것이 미안하면서 한편 이제 나도 나이가 들어가는가 보다 서운한 마음이 늘어가니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