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 담아두기

아침에 읽은 시 한편 내 마음일세

心田農夫 2017. 3. 27. 12:54




                                                    라파엘로의 <그란두카의 성모>,1505/06

 

           


                             혜화역 4번 출구

 

                                                                          이 상국

                                     딸에는 침대에서 자고

                                     나는 바닥에서 잔다

                                     그애는 몸을 바꾸자고 하지만

                                     내가 널 어떻게 낳았는데……

                                     그냥 고향 여름 밤나무 그늘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바닥이 편하다

                                    그럴 때 나는 아직 대지의 소작이다

                                    내 조상은 수백년이나 소를 길렸는데

                                    그애는 재벌이 운영하는 대학에서

                                    한국의 대 유럽 경제정책을 공부하거나

                                    일하는 것보다는 부리는 걸 배운다

                                    그애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

 

                                    내가 우는 저를 업고

                                    별하늘 아래서 불러준 노래나

                                    내가 심은 아름드리 은행나무를 알겠는가

                                    그래도 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세시가 온다

                                    그러면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라고 한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나는 그전에 서울 가면 인사동 여관에서 잤다

                                   그러나 지금은 딸애의 원룸에 가 잔다

                                   물론 거저는 아니다 자벌적으로

                                   아침에 숙박비 얼마를 낸다

                                   나의 마지막 농사다

                                   그리고 헤어지는 혜화역 4번 출구 앞에서

                                   그애는 나를 안아준다 아빠 잘가



                                     라파엘로의 <쿠퍼의 작은 성모>,1505

 

아침에 출근을 하고나 청소를 하고 한 잔의 커피를 타마시며 일을 시작하기 전에 시 몇 편의 음미하고 다음 비록 진품의 작품은 보지 못하더라도 도판에 있는 그림을 보아야 하겠다고 마음에 다짐을 해보지만, 왜 그리도 쉽지가 않는지 모르겠다.

 

시 몇 편 음미하고 도판의 그림 몇 점 본다 해도 한 삼십분이면 족할 일인데, 지나다 쉬어가는 쉼터처럼 찾아드는 지인들에게는 두어 시간의 시간도 내어 주면서도 자신을 위한 삼십분의 시간을 왜 할애하지 못하는 것일까? 게으름의 소치일까? 아니면 아직 습관화가 되지 못해서일까?

 


                                      라파엘로의 <프라토의 성모>,1506

 

지난 생일날 딸아기 선물로 준 김용택시인이 펴낸 시집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지도 몰라에 담기 시를 매일아침 몇 편씩 음미하자는 새로운 마음을 가지고 보고 있다. 그것도 아직은 습관이 되지 않아 보다 안보다 하는데 오늘 아침에 위의 시를 음미하자니, 마치 나에 대한 이야기 같았다.

 

단지 다르다면 혜화역이 아니라 안암역이라는 역 이름 다른 것이다. 지금은 투 룸을 얻어주어 올라가면 둘째딸아이 방 침대에서 잔다. 둘째아이는 첫째 방에 가서 자는데 지 언니의 침대에서 자고 방주인인 첫째가 바닥에서 잠을 잔다. 두 아이들이 각자 원룸에서 살 때는 위 시인처럼 내 방바닥에 자리 펴고 잠을 잤었다.

 


                                 라파엘로의 <콜론나의 성모>,1508년



원룸에 살 때에는 역시 딸아이 아빠 침대에서 주무세요.”하지만 방바닥에서 잠을 청했고 내가 널 어떻게 낳았는데……” “별하늘 아래서 불러준 노래나 나는 딸아이들에게 동요를 많이 불러주었다.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세시가 온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자벌적으로 아침에 숙박비 얼마를 낸다.” “나의 마지막 농사다문구 문구마다 저자의 마음이 나의 마음이다.

 

나 역시 아이들 방을 나서면서 아이들에게 잠재워준 것에 대한 보담으로 자발적으로 숙박비 아닌 숙박비를 건네고 집을 나선다. 나의 두 딸들도 이제 서울에 학교를 다니고 있으니 아마도 이곳 집으로는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 혜화역 4번 출구가 아니라 안암역 4번 출구에서 아빠 안녕” “아빠 잘 가하는 두 딸의 소리를 들으며 딸들과 이별을 한다.


 



28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