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사랑은 인생을 성숙시킨다.

心田農夫 2021. 3. 9. 12:36

                                  사랑이란 사랑하는 존재의 생명과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다. 이러한 적극적 관심이 부족한 곳에는 사랑이 없다.

                                  주는 행위로서 사랑하는 능력은 개인의 성격 발달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성격이 생산적인 방향으로 발달되어 간다는

                                  그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중에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던가. 그러다 보니 혼자 있는 시간은 고독과 함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감옥에서 탈출하려는 인간의 절실한 욕구가 사랑을 갈구하는 것이 아닐까? 이 고독의 시작은 신의 착각에서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生靈)이 된 지라, (2:7)”“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 (2:18)

 

 

 

과학으로 증명되지 않은 신의 이 인간창조설은 인간만을 창조한 것만이 아니라 고독을 창조하였고 그 고독으로 인해 사랑도 창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랑은 사랑하는 상대에게 무엇인가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실과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는지라. 3:6)” 이렇게 사랑하는 이에게 선물을 주는 것 또한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일까? 에리히 프럼은 “주는 행위로서 사랑하는 능력은 개인의 성격 발달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인간창조설에 의하면 사랑하는 이에게 준 최초의 선물은 선악과임을 알 수 있다. 그 선악과를 통하여 인간은 눈이 밝아지고 부끄러움을 알게 퇴고 인류 최초의 옷이라 할 수 있는 무화과 나뭇잎으로 옷을 만들었다. 즉 사랑하는 이에게 전한 선물은 인간을 성숙시켰다. 물론 신은 그것을 원치 않았지만, 그래서 신은 두 남녀를 유토피아라고 생각되는 그 동산에서 쫓겨났고 죽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 종교의 경전에 있는 내용이다. 그 종교의 경전의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인간은 고독을 탈출하기 위해 사랑을 갈구하고 사랑을 통하여 성숙하는 것이리라.

 

 

 

                                                유아적인 사랑은 ‘나는 사랑받기 때문에 사랑한다’는

                                                원칙을 따른다. 하지만 성숙한 사랑은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받는다’라는 원칙을 따른다. 미성숙한 사랑은

                                                ‘나는 네가 필요하기 때문에 너를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성숙한 사랑은 ‘나는 너를 사랑하기 때문에 네가 필요하다'라고

                                                 말한다.

 

                                                여자는 자기중심을 향해 문을 연다. 여자는 받는 행위를

                                                통해 주는 것이다. 만약 여자가 이러한 주는 행위를 할

                                                수 없고 받기만 한다면 그녀는 불감증이다.

 

 

                                                              위 삽화는 <사랑의 기술>에 있는 삽화들이다

 

                                             

                                                서랑은 오직 두 사람이 자기 존재의 중심으로부터

                                               상대방과 관계를 맺을 때만, 즉 그들 각자가 자기 존재의

                                               중심에서 자신을 경험할 때만 가능하다.

 

                                               사랑 수 있는 능력은 긴장과 각성과 고양된 생명력의

                                               상태를 필요로 하며, 그것들은 삶의 모든 차원에서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취할 때만 생겨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중에서

 

'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리석은 질문, 우매한 답  (0) 2021.03.26
다시 보니 반갑네  (0) 2021.03.16
비 오는 날의 사색  (0) 2021.03.06
그가 그리운 날이다  (0) 2021.02.08
봄소식 전해주는 매화  (0) 2021.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