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일본의 역사왜곡, 중국의 동북공정, 잘못이라 말할 수 있겠나.

心田農夫 2016. 5. 3. 15:08






서구에서 역사의 어원이 되는 그리스 ‘istoria’는 원래 알다’, ‘보다라는 뜻에서 파생되었으며, 조사와 탐문을 통해 얻은 지식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이었다.

                              ------------- 중략 ------------

근대에 들어와 한자문화권에서 서구어 historyhistoirestoria 등에 해당하는 번역어로 역사(歷史)’라는 말을 선택했던 데도 이런 역사의 이중성에 대한 인식이 작용했다. 역사는 지나간 사실자체()와 그에 대한 사관의 주관적 기술()을 함께 가리키는 단어로서 성립한 것이다.

                                                                                  구 갑우 외 13인 지음 좌우파 사전중에서







지난 왕조시대에도 사관의 기록에 대하여서는 왕도 사사로이 볼 수가 없었다 한다. 그것은 살아있는 권력인 왕의 치리에 대하여 옳은 것은 옳게 그른 것은 그르게, 착한 것은 착하다 하고 악한 것은 악하다는 사실자체()에 입각하여 사관의 주관적 기술()에 대하여 포폄(褒貶)의 원칙대로 역사를 기술하기 위함이었다.

 

왕조시대에도 이와 같았는데, 21세기 그것도 민주주의 국가에서 대통령이 역사에 대하여, 더구나 자라는 세대를 가르치는 역사교과서애 대하여 자신의 의견이 반영된 역사교과서를 만들려고 역사교과서 국정화작업을 강해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독일의 역사학자 랑케는 역사기술에 대하여 이렇게 말하고 있다.







역사학이 정치나 종교와 같은 외부 요인에 종속되지 않고 참된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오직 사실자체로 하여금 말하게 하는 것역사적 과정이 일어난 그대로 기술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역사 기술자의 특정한 정치적민족적 입장에 근거한 역사기술은 참된 과학이 아니라 특정한 이념이나 민족, 종교 등을 옹호하는 수단으로 전략한다는 것이다.

                                                                          구 갑우 외 13인 지음 좌우파 사전중에서







지난달 26일 박 근혜 대통령은 45개의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을 청와대로 초청하여 오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여러 사한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다. 특히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의 당위성에 대하여 설명한다고 한 대목은 설명이 아니라 동문서답에 가까웠다고 하는 것이 맞으리라. 설명이란 상대방에게 그 내용이나 이유를 잘 알 수 있도록 밝혀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박대통령의 설명은 무슨 말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내용이었다. 옮겨 다시 보자.







 

"우리나라 현대사가 정의롭지 못하고 오히려 이 대한민국은 오히려 태어나지 않았으면 더 나았을, 더 잘하고 있고 정통성은 북한에 있고, 이렇게 인식이 되면서 자라나면 우리 세대가 대한민국에 대해서 전혀 자부심이나 긍지도 느낄 수 없고 또 통일시대에도 이거 뭐 북한식으로 되어버리고 말 것.“

                박 근혜 대통령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설명 내용

                                                                                     인터넷 신문 <오마이 뉴스>인용


              (저작권 문제가 있다면 연락 주십시오. 바로 삭제 하겠습니다.)

    

 






도무지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나는 대통령의 발언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현대사가 정의롭지 못하고 오히려 이 대한민국은 오히려 태어나지 않았으면 더 나았을,라는 말은 마치 세월호 유가족이 했음직한 발언인 것으로 착각하게 하고 더 잘하고 있고 정통성은 북한에 있고,“ 라는 말은 이북의 고위관리가 남한 보다 이북이 더 잘하고 있고 이북이 정통성이 있는 한반도의 유일한 나라다 말하는 것 같고,

 

 

이렇게 인식이 되면서 자라나면 우리 세대가 대한민국에 대해서 전혀 자부심이나 긍지도 느낄 수 없고 또 통일시대에도 이거 뭐 북한식으로 되어버리고 말 것.“ 라는 말은 우리 세대가 조국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없어서 북한이 한반도를 통일해 북한식 통일시대가 온다는 말인지, 일개국민이 이런 말을 했다면 아마 모르긴 해도 국정원에 임의동행 형식으로 불려가 상당한 고초를 당했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일반 백성도 아닌 대통령이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이에 대한 인터넷 신문의 평을 보자.


 





박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당위를 언론인에게 이렇게 설명했다. 문어가 아닌 구어라는 점을 이해한다 하더라도 그의 발언은 문맥과 문맥이 이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법에도 맞지 않는다. 만약 '국정교과서의 당위를 설명하시오'라는 구술시험에 이렇게 답을 했다간 한심한 눈으로 쳐다보는 시험관의 시선에 쥐구멍을 찾아야 했을지도 모른다.

어법과 화법을 허무는 박 대통령의 맹활약은 간담회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됐다. 박 대통령이 이날 보여준 어법과 화법은 굳이 국문학 전공자의 눈으로 보지 않아도 언급하기에 민망한 수준이다. 그가 일반인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기상천외한 화법을 구사하고 있는 탓이다. 몇 번을 곱씹어 봐야 겨우 진의가 파악되는 박 대통령의 화법. 각료라면 식은땀이 날 것이고, 언론인이라면 한숨이 날 것이며, 국어학자라면 땅을 치고 싶을 것이다.

                                                                                          인터넷 신문 <오마이 뉴스>인용


               (저작권 문제가 있다면 연락 주십시오. 바로 삭제 하겠습니다.)








일본은 독도가 자신들의 영토라고 말하면서 미성숙한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교과서에 독도가 자신들의 영토임에도 한국인들이 불법점거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위안부 할머니들 문제도 내선일제 정신에 의하여 할머니들 스스로 지원하여 군인을 위안했다는 식의 역사왜곡을 일삼아 오다 현 우리정부와 위안부문제에 대하여 합의 했다며 위안부 합의는 잘 마무리 된 일이고 이제 잊혀 졌으면 하는 입장이 되었다.

 

일본뿐이랴, 중국역시 2003년에 시작한 동북공정은 고구려의 역사를 비롯하여 고대사를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려고 하고 있고 백두산(중국은 장백산이라 부른다)과 예전의 우리 영토였던 간도를 자신들의 영토화하려는 국가 프로젝트가 동복공정인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중앙정부의 프로젝트는 끝나지만 현재 동북 3성의 각지에 있는 고구려 관련 유적과 유물, 그리고 박물관에는 고구려사가 중국사라는 동북공정의 논리를 반영한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다한다.

 






지난 45일 블러그에 올린 <윤동주시인과 이 봄을 함께 하리> 에서도 적었지만 우리의 민족 시인인 윤동주시인의 생가를 복원 하면서 중국정부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 윤동주 생가라는 푯말을 세우고 중국 안의 소수민족 조선족의 한사람으로 윤 동주시인을 중국시인으로 왜곡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이때에 자국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교과서의 표지제목을역사’‘국사라 표시하지 않고 마치 외국인이 남의 나라의 역사에 대하여 말하듯 한국사라고 아무 생각도 없이 적고 부르고 있는 현실이다.

 

절대 권력의 왕조시대에도 사관이 하는 일에 대하여서는 왕이 권력을 이용하여 좌지우지 하지 않았는데, 박대통령은 자신의 입맛에 맞게 뜯어 고치려고 역사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고증하는 역사학계와 많은 국민들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밀어붙이는 것은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일본이나 동복공정으로 우리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에 편입시키려하는 중국에게 어떻게 비쳐질까? 그러고도 그들에게 너희는 잘못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이유를 나는 세 가지로 들었다.

 

첫째, 국정화는 교과서 발행의 세계사적 추이에 역행한다.

                  ------------- 중략 ----------

국정화를 합리화하려는 논리로 분단 상황을 내세우기도 한다. 한국이 분단국가이기 때문에 이념투쟁에서 이기려면 국정체제하의 통일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 논리가 적용되려면 국사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정부가 기도하고 있는 국정화는 교학사 교과서의 재판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교학사 교과서를 검정에 통과시키기 위해 정부가 얼마나 공을 들였는가는 절 알고 있다. 백화점식 오류에도 불구하고 검정을 통과시켜 시장에 내놓기만 하면 그대로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보수언론과 정부의 살뜰한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교학사 교과서의 채택율은 0에 가까웠다.

  





  

셋째,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기도는 국민 다수가 반대하기에 반민주적인 발상이다. 정부는 각급 학교를 통해 학부형 및 교사들에게 여론조사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학부형의 다수와 현장 교사들의 대부분이 국정화를 반대하고 있다.

 

정부가 용역을 주어 연구한 학자들도 국정화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거기에 다 역사교육 현장에 종사하는 교사들도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고, 또 역사학계도 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극구 반대하고 있다. 전문가 집단의 이 같은 의사를 정부가 무시하고 강행한다는 것은 열린사회에선 있을 수 없다.

                                        전 국사편찬위원장 이만열 지음

                                                                           『잊히지 않는 것과 잊을 수 없는 것중에서








28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