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이루지 못할 꿈임을 알지만

心田農夫 2017. 5. 8. 18:00

 

성경은 부모와 노인에게 경외하라고 말한다. 이는 단순히 부모와 노인을 비판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그들을 존중하고 존경하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우리보다 먼저 그리고 오랜 세월동안 삶을 지키며 살아온 사람들 앞에 머리 숙여야 한다.

 

자신의 근원인 부모를 존경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부모를 존경하지 않는 사람은 결코 자신을 존중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알셀름 그륀 지음 지금과 다르게 살고 싶다중에서





오늘은 어버이날이다. 대통령후보 중 한 분인 문재인 후보가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하겠다는 공약을 내새웠다. 어버이날 이라 정해 놓았지만, 어버이날에 출근을 하여야 하는 대다수의 근로자를 위해서 효친사상을 몸소 실천하라고 그러한 공약을 하였던 것이리라 사료된다.

 

어머니날에 대한 유래를 살펴보면, 미국 버지니아 주 웹스터라는 마을의 안나 자이비스란 소녀가 어머니를 여의고 장례를 치루고 산소 주위에 평소 어머니가 좋아하던 카네이션 꽃을 심었답니다. 어느 날 소녀는 어느 모임에 참석을 하면서 가슴에 하얀 카네이션을 달고 참석을 했는데, 소녀의 그 모습을 보고 이유를 물었더니 어머니가 보고 싶고 그리워 어머니 산소에 있는 카네이션과 같은 꽃을 달고 나왔다.”라고 했답니다.





안나는 살아가면서 어머니 살아계실 때에 잘 모시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를 했답니다. 그런 마음에 있던 안나는 어머니를 잘 모시자는 운동을 하였고 1904년에 시애틀에서 처음으로 어머니날 행사를 개최하여 어머니가 살아계신 사람에게는 붉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아 주었고 자신처럼 어머니가 돌아가신 사람에게는 하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아주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어머니날 행사는 미국 제 28대 대통령 토머스 윌슨이 19145월 두 번째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하였습니다.

 

이것이 세계적으로 퍼져나가던 것입니다. 여러 나라에서는 어머니날, 아버지날을 따로 정하고 있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95658일을 어머니 날로 정하여 행사를 해오다 1972어버이날로 그 명칭을 바꾸어 부모님에 대한 효친(孝親), 즉 어버이를 섬기고 공경하는 마음을 부모님께 전하면서 부모님의 은혜를 생각하는 날이 되었던 것입니다.





단하루지만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의 은혜를 생각하는 날인 어버이날이 돌아오면 언제나 허전함과 죄스러운 마음입니다. 살아생전에 효를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효자의 죄책감이겠지요. 서울 형님 댁과 우리 집을 오고가시던 아버님이 어느 날 삼형제의 막내인 우리 집에 짐을 쌓아가지고 오셔서 눌러 계시겠다하여 10여년을 함께 하시다 이곳에 돌아가셨습니다. 그러나 어머님은 내 결혼 전에 돌아가셨기에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못하였습니다. 그래 어버이날만 되면 한 삼년만이라도 어머님과 함께 하였으면 하는 이루질 수 없는 꿈을 가져봅니다.

 

어느 날 40대 중반쯤의 손님이 어머니에 대하여 불평을 늘어놓기에 어머님 살아계신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아느냐 그리고 어머니라고 불렀을 때에 , 나 여기 있다.” 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줄 아느냐. 그 여인에게 말하면서 나는 이루질 못할 꿈이지만 나는 어머님과 한 삼년만이라도 같이 지냈으면 좋겠다는 희망의 꿈을 꾼다는 말을 하면서 어머님, 아버님 살아계실 때에 잘 모시라고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손님이 가시고 나서 어머니를 생각하며 단상을 적어보았습니다.




 

                                               단상 : 어머니

                                                                                  

                                                                        碧 石


                                                         어머니

                                                        그 이름 부를 수 있음이

                                                        얼마나 감사하고

                                                        무한한 행복인줄을

                                                        그대는 정녕 아시는가?

 

                                                        어머니

                                                        부르고 싶어 그 이름

                                                        허공을 향해 불러보지만

                                                        메아리조차 없이 바람결에 흐르고

                                                        고요 속에 그리움만이 멍울 맺힙니다

 

                                                       청명한 밤하늘

                                                       두둥실 솟은 둥그런 달님

                                                       웃음 짖는 어머니 얼굴 되어

                                                       예야 나 예 있다

                                                       소리 없는 말씀에

                                                       그리움 눈물 되어 핑그르 흐릅니다

 

                                                       어머니

                                                       그 이름 부를 수 있음이

                                                       얼마나 감사하고

                                                       무한한 행복인줄을

                                                       그대는 정녕 아시는가?



28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