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재학시절을 회상하며

心田農夫 2017. 5. 18. 16:34


                            단상 : 어이 이제야 오시었소.

 

                                    碧 石

 

                     1기에, 2기에

                                    왜 아니 오시고

 

                     3기에, 4기에는

                                    어이 아니 오시였소,

 

                                    개개인

                                    나름 나름의

                                    이유야 있었겠지만

 

                     5기에 오신 것은

                                    전생의 인()에 의한

                                    이승의 연()은 아닐는지요

 


 



우리의 선조들은 술을 약주라 하였다. 술은 곡식으로 만들기에 술도 음식인 것이다. 음식이란 적당히 먹으면 몸에 영양분을 공급해 줌으로 건강에 유익한 것이리라. 논어선진편에 보면, 공자께서 자공의 질문에 답하는 말씀 중에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하셨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 제아무리 좋은 음식도 과식을 하면 몸에 해로운 것 같이 술 역시 적당히 마신다면 약주라 할 수 있을 것이나 과음은 오히려 몸에 해치는 것이리라. 그래 적당히 마시면 약주요, 도가 지나친 과음은 독주가 되어 만병의 근원이라는 소리도 듣는 것이 술이라는 음식이다.

 

 



어제는 두 달에 한 번씩 모이는 동기회 정기모임 있었다. 모임도 세월에 따라 달라져만 간다. 예전 모임에는 참석인원도 제법 그 수가 많았고 저녁을 먹으며 술도 권하기도 하고 받기도 하며 술잔을 들고 건배를 외치며 흥에 겨워 마시고는 그 흥에 2차 노래방으로 가서는 숨겨두었던 노래솜씨를 한껏 발휘하고는 했는데, 시대가 음주문화를 바꾸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경제의 침체 탓일까? 졸업을 하고 시간이 갈수록 참석인원도 줄어들고 모여서 저녁을 먹으며 한 잔술의 흥도 없이 헤어지는 것이 근래의 모임의 풍경이었다.



 


어제는 참석인원 다섯 분이었다. 졸업 후 처음 모일 때에 비하면 삼분의 일도 체 되지 않는 인원이다. 그래도 칠팔 명은 모였는데 어제 제일 적은 인원이 모였다. 이는 분명 세월의 흐름이 이유인 것 같다. 정치인들이야 학연, 지연으로 맺어질 수밖에 없는 필요에 의하여 만남이 계속되겠지만, 평범한 우리들이야 순수한 마음으로 학연을 이어가다보니 저마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겠지만, 점점 참석하는 인원이 적어지는 것은 그 끈끈한 학연도 세월에 흐름에 서서히 퇴색되어만 가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 밤이었다.







그런데 어제는 웬일들인지 차를 안가지고 온 사람들이 있어 모처럼 술을 마시면서 화기애애한 분위기에 이야기를 하다 보니 시간가는 줄을 몰랐을 정도였다. 술을 마시지 않았을 때에는 두어 시간도 못 되어 헤어졌는데 어제는 늦은 시간까지 이런저런 삶에 대한 이야기와 재학시절 있었던 이야기로 꽃을 피웠다. 헤어져 돌아오는 길에 술에 대하여 생각을 해보았다.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은 만남과 만남 속에서 살아가는데, 그 만남에 속에서 술이란 참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게 해주는 촉매제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위의 그림들은 대구은행 사보에 실린 것을  인용하였음.

                                                                        저작권에 문제가 있다면 연락주시면 삭제 하겠즙니다.>




                                                                       단상 : 학우들

 

                                                                 碧 石

 

                                                    아롱다롱

                                                    저마다의 무지개 꿈 안고

                                                    인과 연으로 만난 학우들

 

                                                    지혜의 목마름

                                                    배움으로 해소하고파

 

                                                    주경야독

                                                    피곤도 하련마는

                                                    거부할 수 없는 운명 이라는 듯

 

                                                    오늘도 책 펴들고

                                                    초롱초롱 눈망울로 어두움을 밝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