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그 시절이 그리워지는 시간이다.

心田農夫 2017. 8. 3. 12:57

                                            

                                                수선화에게

 

 

                                                          정호승

 

                           울지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검은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울 때문이고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산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퍼진다


 



시인은 사람은 외로워야 사람이란다. 외로워서 일까? 사람은 가족이란 울타리, 동향(同鄕)이란 지연의 울타리, 그리고 동창, 동문이라는 학연의 울타리 속에서 살아가는 것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다지. 우리의 선조들은 두레공동체 만들고 그 속에서 품앗이라는 아름다운 풍습을 전해주었건만, 자본주의사회의 신자유시장체제 속에서 개인주의가 팽팽하다보니 우리의 아름다운 풍습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인생길 터덜터덜 걸어가며 사노라면 어이 외롭지 않은 수가 있으랴. 그 외로움 때문이었을까? 우리들은 외로움 속에서 외로움을 나누려고 모임을 만들고 그 모임을 통한 만남을 지속하는 건 아닐까? 외로워도 모이고 즐거워도 모이고 슬퍼도 모여 오지 않았던가. 외로운 이와 함께 있어 외로움을 나누고 즐거움도 함께하여 그 즐거움이 두 배로 배가 시켰고 슬픔도 함께 나누어 그 슬픔을 반으로 반감시키며 너와 나 그리고 그와 친구라는 울타리 속에서 우정을 쌓으며 살아왔다.

 


 


그런 친구들이 하나 둘 먼 여행을 떠나고 있는 현실에서 삶에 외로움의 그림자가 마음에 짖게 내려앉는다. 신영복 선생님은 비를 맞고 걸어가는 친구에게 우산을 받쳐주는 것이 아니라 우산을 접고 빗속을 같이 걸어가 주는 것이 참다운 우정이라 했던가. 그리고 법정스님 책에 보면 진정한 친구란 두 개의 육체에 깃든 하나의 영혼이다.”라는 글도 있다. 요즈음 부쩍 친구들과 함께했던 그 시절이 그리워지는 시간이 길어진다.



 

 

 

                                                            외로움

 

                                             혼자 사는 사람들만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세상사람 누구나

                                             자기 그림자를 이끌고 살아가고 있으며.

                                             자기 그림자를 되돌아보면

                                             다 외롭기 마련이다.

 

                                             외로움을 느끼기 못한다면

                                             그는 무딘 사람이다.

 

                                             너무 외로움에 젖어 있어도 문제이지만

                                             때로는 옆구리께를 스쳐 가는

                                             마른 바람 같은 것을 통해서

                                             자기 정화, 자기 삶을

                                             맑힐 수가 있다.

 

                                             따라서 가끔은 시장기 같은

                                             외로움을 느껴야 한다.


                                                         류지화 엮음 법정 잠언집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