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우애(友愛)는 관심과 배려로 자라 꽃 피운다.

心田農夫 2017. 12. 4. 17:49

                                   단상 : 글벗 되었네.

                                                                    碧 石


                                                 댓글 정성에

                                                 답 글로 화답하며

                                                 가상공간에서 우연히 만나

                                                 하루 이틀 사흘

 

                                                 강물 흐르듯 흐른 세월

                                                 새록새록 궁금증 쌓여

                                                 음성과 음성으로 담론 나누며

 

                                                 시나브로

                                                 우연이 인연으로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며

                                                 가상공간에서 맺은 정

                                                 현실의 세계로 이어져

                                                우애 나누는 글벗 되었네.




 

지금 교환학생으로 미국 뉴욕의 한 대학에 가있는 대학 삼 년생 둘째 딸아이 초등학교 1학년 단임 선생님을 통하여 블러그라는 말을 처음 들었다.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편지 한 통과 책한 권 부쳤는데, (지금은 김영남법으로 책은 고사하고 꽃 한 송이 전할 수가 없는 현실이 되었다. 법으로 사제(師弟)관계의 순순한 정마저 나누지 못하게 금지시켜 각박하게 만드는 현실이 안타깝다).

 





책을 잘 받았다는 전화를 주면서 선생님은 학교생활에 관한 것을 블러그에 올려놓고 있으니 시간 날 때에 보시라는 말씀과 블러그 이름과 닉네임을 알려주셨다. 그 당시 만해도 컴퓨터는 문외한이라 아내에게 부탁해 아내가 선생님의 블러그를 찾아서 화면에 띄워주면서 보고 싶은 곳을 클릭하면 볼 수 있다고 가르쳐 주고 나서야 선생님의 글을 볼 수가 있었다. 그렇게 간간히 선생님의 블러그라는 것을 보면서 아이들의 학교생활도 엿볼 수 있었고 나도 조금씩 컴퓨터에 익숙해지기 시작을 했다.

  



  

그러다 어찌어찌 블러그를 만들고 초보 블러거가 되었다. 그렇게 시작한 블러거 생활이 참으로 오랜 시간이 흘렀다. 두서없이 적었던 글에 댓글로 답해주는 분들도 있었고 친구 맺기를 신청해 친구도 되었다. 친구들에게는 비공개 댓글로 포항에 오실 일이 있으면 연락을 주시면 회 대접을 하겠습니다.”라는 글과 전화번호를 남겼다. 그 글을 보고 포항에 다녀가신 몇 분이 계신다.


 


 

삶이란 어쩜 만남의 연속이 아닌가 싶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만나게 되는 사람들의 숫자를 생각해 보면, 예정된 만남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모든 만남은 우연으로 출발하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지속적 만남은 숙명으로 귀결되기도 하고, 더 이상 피할 수도 없고 끝내 저항할 수도 없는 운명의 덧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명화지음 사랑에도 항체가 있다중에서

 

 

 


 

다녀가신 분 중에 사랑에도 항체가 있다의 저자 수필가 승은선생님이 계신다. 승은선생님과는 위의 글처럼 댓글과 답글로 시작을 하여 전화로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간간히 사는 곳의 특산품을 주고받으며 지내온 지가 꽤 오래 되었다. 그러다 삼사년 전에 글벗을 찾아 오셨다. 그곳에서 하루 주무시고 그 글벗이 포항의 명물 물회를 대접하겠다고 포항으로 가자고 해서 가고 있는 중이라는 전화를 받고 약속장소를 가서 처음 뵈었다.



 


 

그렇게 우리는 온라인에로 글로 만나 오프라인에서까지 만나 우애 나누는 글벗이 되었다. 이번 10월에 고구마 한 상자를 보내 주시더니 포항 지진소식에 전화를 해 안부를 묻으시더니 김장을 하여 부친다는 전화를 주었고 지난 목요일에 김장김치를 깔끔히 포장해 담은 하얀 스티로폼 박스를 지난 목요일에 잘 받았다. 고구마와 김장김치라는 댓글을 받았으니 답글을 무엇으로 하나 생각하다. 포항의 명물 과메기를 부치기로 마음에 정하고 오늘 부치고 이글을 쓴다.



 

 


막상 천재지변(天災地變) 당하고 나니 요즈음은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는 속담처럼 약한 여진에도 놀라고 주위에서 쿵하는 소리에도 놀라 가슴을 쓰러내린다. 이렇게 어려움에 처하다 보니 안부전화 한통이 그렇게 위안이 될 수가 없다. 무심결에 당하고보니 사람이 안 다친 것만이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시청에서 조사해가고 소상공인협회에서 조사해가고 사고대책반에서 조사해가고, 사진을 보내라 뭐라 하는 것은 많은데, 보상이나 작은 도움하나 받는 것이 없다.

 



 

이런 현실에서 그제 토요일에는 지인인 포항시 생활체육 합기도 연합회 전회장님이 김장을 담아 갔다 주면서 무가 담긴 것은 갈치를 젓갈로 담은 것이니 천천히 드시고 무가 없는 것은 굴로 담은 것이니 먼저 드시라고 하며 전해주고 가셨다. 이러한 관심과 배려를 해 주신 두 분의 우애 덕에 올 겨울 내내 맛있는 김치를 먹으며 지진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치유해 볼 생각이다.

 

 

 

        < 위 사진들은 이번 지진으로 발생한 현상이다.>                     



                                      단상 : 과메기        

 

                                                碧 石

 

                              순백의 소주 한 잔

                              입안에 톡 털어 넣고

                              둥근 쟁반 위 넓죽 엎드려

                              졸고 있는 녹색다시마 깨워

                              손바닥 위에 멍석 펴듯 짝 펴

                              마늘 한쪽,

                              풋고추, 실파 차례로 올리고

                              과메기 초고추장 찍어 살짝 얹어

                              둘둘 말아 입 벌려 쏙 밀어놓고

                              아작아작 우직우직 씹고 씹는 그 맛

 

                              한 잔술에 과메기 한 쌈

                              하루 쌓인 피로 아작아작 씹어 심키고

                              두 잔술에 과메기 한 쌈

                              삶에 찌든 번뇌 우직우직 씹어 넘기니

 

                              씹을수록 고소한 이 맛이

                              하루의 피로 풀어버리고

                              찌들은 번뇌 씻어 내리니

                              순백의 소주 한잔에 과메기 한 쌈

                              인생사 힘에 겨워도 이 맛에 세상 살아간다.




   28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