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그날 시향정의 뜻있는 인연을 생각하며

心田農夫 2017. 10. 26. 16:59

 

                                   어머니와 손칼국수

 

                                                                  東川  이 춘우

 

                                           어렵사리 살았던

                                           그 시절

 

                                           긴 여름날 저녁 무렵

                                           손칼국수 만드시는

                                           어머니의 손놀림에

                                           홍두깨가 바쁘다

 

                                           한 번은 좁은 밭뙈기 넓히듯

                                           두 번은 가난에 찌든 가슴 펴며

                                           세 번은 자식들 배불리 먹이려고

 

                                           둥글게

                                           넓게

                                           얇게

 

                                           배고픈 세월의 한가운데를

                                           몇 번이고 쥐락펴락한 후에

                                           송송 썰어

                                           애호박, 건멸치 몇 마리 보탠다

 

                                          그날 저녁

                                          아버지도 형도 누나도 나도

                                          삭인 것은 가난이었고

                                          나눈 것은 행복이었다



 

                      東川 이 춘우 시집 <그립거나 미웁거나> 에 실린 시


 

살아오다보니 백세세대라 말은 들으며 살고 있는데, 그 백세를 살려면 아직도 한참이 남아있는 것만 같은데, 무엇이 그리도 급했는지 친구들이 하나둘 천상의 나라로 떠난다. 칠월에 친구를 보내고 돌아와 가만 생각을 해보니 적지 않은 세월을 살아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언제고 이 세상 떠나야 하는 것이 기정사질이니 마음의 준비라도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생에 무슨 인연이 있었는지는 전생의 일이라 알 수는 없지만 그 인연으로 나에게 딸로 와 주었고 그로 인해 나에게 행복을 주었던 두 딸에게.  먼, 먼 훗날 내가 보고 싶거나 그리울 때에 나를 대신할 무엇인가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돈이 많다면 부동산이라도 하나 남겨주면 좋을 듯하지만, 돈 버는 재주가 없어서 그런지 돈에 대한 욕심 없이 살아온 터라 그것은 가능하지 않고 이런저런 잡념에 며칠을 보냈다.


  

                                  東川 이 춘우선생님의 자택 전경

 

어느 날 책을 보다 문뜩 그래 책한 권 있다면 어떨까? 그동안 블러그에 두서없이 써왔던 글들을 엮어서 책한 권 내 볼까? 살아오면서 느끼고 체험한 것들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생각나는 대로 써왔으니 산문집, 에세이(essay)로 출판을 하면 아빠 생각날 때에 책꽂이에서 꺼내어 펴들고 읽으며 아빠 생각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으로 글들을 들여다보니 단상이라는 이름으로 써놓은 글들이 제법 되었다.

 

문뜩문뜩 떠올라 적었던 단편적인 글들, 그래 단상집을 하나 내 보자라는 마음에 정리를 하고 있던 중에 간간히 손님으로 오시던 서예가 최 선생님이 출판사 아는 곳이 있느냐 묻기에 전혀 모르고 그냥 우선 정리를 한다고 하니 시인(詩人) 한분 소개해 줄 테니 그분에게 이야기하면 출판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말씀을 하신다. 말씀한 한 달쯤 후에 그분과 약속을 잡았다고 시간을 내라는 전화가 와서 다녀왔다.

  


                              東川 이 춘우선생님의 자택 전경



동천선생은 은퇴 후에 고향에 내려와 시와 서예 그리고 서각까지 하시는 분이셨다. 넓은 마당은 잔디로 잘 가꾸어 져있고 다양한 나무들이 심어져 있어서 누구나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이라면 부러움을 살만 한 전원주택에서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즐기는 분이었다. 빈손으로 처음 찾은 길손을 반가이 맞으며 차와 과일 그리고 탁주대접까지 마음씀씀이에 감사한 마음과 빈손의 무안함이 교차하였다.

 

첫 만남이라 출판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고 이런저런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하다 어두움이 서서히 내려앉기에 그만 일어서 돌아왔다. 동천선생의 집 입구에는 한 2m 정도의 자연석에 시향정(詩香庭)이라 새긴 입석이 세워져있다. 글 그대로 시()의 향기가 은은히 펴져 시의 향기 가득한 정원이 딸린 저택이었다. 후한대접을 받고 돌아서는 객에게 동천선생은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이 제3권의 시집 밖에 없다고 돌아서는 길손에게 첫 장에 손수 사인을 한후 시집을 건네주신다.

 


                            東川 이 춘우선생님의 자택 입구 전경


 

막상 책을 내려니 이쪽에는 문외한이라 답답함이 있다. 서울에 후배가 예전에 출판 쪽에 일을 한 적이 있어 서울 갔을 때에 잠깐 만나 술 한 잔하며 이야기를 했더니 자신도 출판 쪽에는 잘 모르는데, “형님 어떤 식으로 하시려고요?”묻는다. 어떤 식이라니, 보통 시집 크기로 정도면 되지 했더니, 그것이 아니고 서점에 돌리 것이냐 묻는다. 내 글을 공부한 사람도 아니고 그냥 두 딸에게 남기고 지인들에게 전하고 싶다고 하니 그러면 돈도 많이 들지 않고 그것은 자신이 해 줄 수 있으니 다음에 서울 올 때에 USB에 담아 오면 된다며 그렇게 만들어진 책을 비매품이라고 한다고 말해준다.

 

그런 마음 가지고 정리를 하고 있었는데, 서예가 최선생님과 시인 동천 선생님이 책을 내려면 정식으로 출판을 하라고 권하신다. 특히 동천 선생님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자료가 등록되는 CIP라는 방법도 있다고 정보를 주신다. 출판에 관해서 궁금하기는 한데, 첫 만남이라 묻기가 그래서 다음에 만날 기회가 있다면 출판에 대해 물어보기로 마음에 정하고 이런저런 살아가는 이야기로 정을 나누다 어둠이 서서히 시향정의 뜰 안에 내려앉기에 일어나 돌아왔다. 돌아와 글 하나 적어보았다. 시인 앞에 내놓기는 부끄러우나 그날의 대접에 대한 보답으로 액자에 담아 다음 만남에 전하려고 한다.

 

 

                            東川 이춘우 시인의 제3권 시집

 

 

 

                                         단상 : 시항정(詩香庭)

 

                                                                              碧 石

 

                                                      무심히 찾은 길손

                                                      마다않고 반가이 맞아

                                                      차와 과일로 대접하는 손길

                                                      빈손으로 찾은 객 무안하여라

 

                                                      순백의 자기쟁반엔

                                                      귀족참치 볼그레한 회되어

                                                      다소곳이 자리하고

                                                      뽀얀 속살 부드러운 탁주 여인

                                                      고풍스런 잔에 쪼르르 나신을 자랑하네.

 

                                                      만남 반가워 잔 부딪쳐

                                                      입안으로 사르르 흘러내리니

                                                      탁주 여인 따사로이 이 몸 감싸주니

                                                      첫 만남  어색함 간곳없고

                                                      십년지기 만나 듯

                                                                             시간의 흐름조차 잊었어라

 

                                                      아쉬움 어둠에 고이 접어두고

                                                      돌아서는 객에게

                                                      시인의 영혼 온전히 담긴

                                                      시집 건네는 시인의 마음

                                                      내 어이 잊으리오.

 

                                                      시()향기 은은한 정원

                                                      시향정(詩香庭)에서 맺은 인연

                                                      내 아니 잊으려

                                                      마음 속 깊이깊이 새기며 돌아서네.

 

 

           東川 이 춘우 시인을 만나고 돌아와 단상을 적어 액자에 담았다. 다음 만남에 전하려고



28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