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글 벗이 있어 좋다.

心田農夫 2021. 1. 5. 18:12

                                                                  추억

 

                                                                                                     이명화

 

                                                                             친구가 생각날 때

                                                                 아련히 떠오르는

                                                                 둥그런 얼굴 하나만

                                                                 그릴 수 있어도

                                                                 홀로 가는 그 길 외롭지 않습니다

 

                                                                 고향이 그리울 때

                                                                 목 놓아 부를 수 있는

                                                                 이름 석 자만

                                                                 간직하고 있어도

                                                                 골몰길 들어서면

                                                                 어둡던 마음이

                                                                 대낮처럼 환합니다

 

                                                                 마음이 울적할 때

                                                                 언제라도 달려가

                                                                 시린 손 맞잡고

                                                                 상한 마음을 다독여줄

                                                                 벗 하나 있으면

                                                                 더 이상 우리는 실향만이 아닙니다

 

                                                                 햇살 가득한 댓돌 위

                                                                 잿물 발라 닦아놓은

                                                                 고무신 한 켤레의 흔적만으로도

                                                                 이제 우리는 고아가 아닙니다

 

                                                                샛별 같은 눈동자

                                                                세월 따라 깊었으니

                                                                가버린 날들 서러운 들 어떠랴!

                                                                동짓날 기나긴 밤

                                                                적막한들 어떠랴!

 

 

 

이명화 수필집 <사랑에도 향체가 있다>

 

수필가 이명화 선생님을 알게 된 지도 어느새 강산이 바뀌었다. 이 선생님은 사랑에도 항체가 있다라는 수필집의 저자로 온라인 블로그에서 댓글과 답글로 인연이 되어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계기로 글 벗이 되었다. 각박한 세상에서 얼굴도 모르고 블로그의 글에다 서로 댓글과 답글을 주고받으며 지내다가 오프라인에서 전화로 목소리를 듣다 서로의 사는 지역을 방문하며 만나기도 했다. 이렇게 이 선생님과는 간간이 소식을 주고받는 글 벗이 되었다. 오늘도 카톡으로 사진을 보내왔다.

 

 

 

오늘 카톡으로 보내온 사진

 

그리고 지난해에 마지막 날에 나에게 시추억을 메시지로 보내주었다. 그에 앞서서 활동하고 계신 지역에 문인들과 함께 발행한 순수필동인지 유리벽 넘어라는 수필동인지 제4집도 보내왔다. 1집을 받은 지 어제만 같은데, 어느새 세월이 많이 흘렀는가 보다. 책을 좋아하는 나에게 어느 해인가 사시는 지역 문인들의 시집, 수필집, 7권의 책을 보내주기도 했다. 늘 이렇게 받기만 하다. 살면서 문뜩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두었던 단상들을 모아 책 한 권 내어 보내드린 것이 전부이다.

 

 

 

첫 시집 <그대 이름은 속 빈 갈대>

 

작년 한 해 너무도 힘들게 지내는 것을 아시고는 위로의 글을 간간이 보내주고는 한다. 위의 시 추억도 그러한 한 내용인 듯하고 오늘 보내온 사진 속의 글을 보니, 역시 나를 위로하는 글인 것 같다. 오늘 보내온 카톡에 대한 답을 아직 하지 못했다.

 

 

 

작년 말에 보내온 순수필동인지 제4집

 

신축년 12일 날, 영일대 해수욕장에서 떠오르는 태양을 보며 다짐을 했던 넋두리라는 글과 그날 촬영했던 일출 사진을 보내려고 한다. 올해는 스스로 마음을 치유하는 한 해를 살아갈 거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라고. 멀리 떨어져 살고 있지만, 이러한 글 벗이 있어 너무도 좋다.

 

 

 

2017년 순수필동인지 제1호

 

 

                                                                   글 벗 되었네.

 

                                                                                                      碧石

 

                                                                                   댓글 정성에

                                                                  답 글로 화답하며

                                                                  가상공간에서 우연히 만나

 

                                                                 하루 이틀 사흘

                                                                 강물 흐르듯 흐른 세월

                                                                 새록새록 궁금증 쌓여

                                                                 음성과 음성으로 담론 나누며

 

                                                                 시나브로

                                                                 우연이 인연으로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며

                                                                 가상공간에서 맺은 정

                                                                 현실의 세계로 이어져

                                                                 우애 나누는 글 벗 되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