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인생이란 고립무원이 아니던가?

心田農夫 2021. 1. 12. 16:57

 

                                  

                                  우리는 나이가 들고 서서히 정신이 빠져나가면

                                  어린애처럼 속이 없어지고 결국 원하건 원치 않건

                                  자식이 있건 없건 마누라나 남편이 있건 없건

                                  돈이 있건 없건 잘 살았건 잘못 살았건 세상 감투 썼건

                                  못 썼건 잘났건 못났건 대부분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서

                                  생의 마지막을 보내게 된다.

 

                                  고려 시대에 60세가 넘어 경제력을 상실한 노인들은

                                  밥만 축낸다고 모두 자식들의 지게에 실려 산속으로

                                  고려장을 떠났다고 하는데, 오늘날에는 요양원과

                                  요양병원이 노인들의 고려 장터가 되고 있다.

                                  한번 자식들에게 떠밀려 그곳에 유배되면 살아서 다시는

                                  자기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니 그곳이 고려 장터가 아니고 무엇이랴.

 

 

 

 

                               그곳은 자기가 가고 싶다고 해서 갈 수 있는 곳도

                               가기가 싫다고 해서 안 가는 곳도 아니다. 늙고 병들고

                               정신이 혼미해져서 자식들과의 대화가 단절되기 시작하면

                               갈 곳은 그곳밖에 없다 산 사람들은 살아야 하니까.

                               요양병원 근무하는 어떤 의사가 쓴 글이다.

 

                               요양병원에 갔을 때의 일들을 생각해 보니 어쩌면

                               이 의사의 말이 그렇게 딱 들어맞는지 놀라운 정도이다.

                               그래서 전문가라고 하는 것 같다 요양병원에 면회 와서

                               서 있는 가족 위치를 보면 촌수가 딱 나온다.

 

 

                              

                               침대 옆에 바싹 붙어 눈물 콧물 흘리면서 이것저것 챙기는

                               여자는 딸이고 그 옆에 어색하게 서 있는 남자는 사위이다.

                               문간쯤에 서서 먼 산을 보고 있는 사내는 아들이다.

                               복도에서 휴대폰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여자는 며느리다.

                             

                               요양병원에 장기입원하고 있는 부모를 그래도 이따금씩

                               찾아가서 살뜰히 보살피며 준비해 온 밥이며 반찬이며

                               죽이라도 떠먹이는 자식은 딸이다.

 

                               대개 아들놈들 침대 모서리에 잠시 걸터앉아

                               딸이 사다 놓은 음료수 하나 끼쳐 먹고 이내 사라진다.

                               아들이 무슨 신줏단지라도 되듯이 아들, 아들 원하며

                               금지옥엽 키워 놓은 벌을 늙어서 받는 것이다.

 

                                                                                                        

 

 

 

                              딸 하나 열 아들 부럽지 않은 세상인 것을 그때는 몰랐다

                              요양병원, 요양원 오늘도 우리의 미래가 될 수많은 그들의

                              창살 없는 감옥에서 의미 없는 삶을 연명하며 희망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그들과 자신의 말로가 그렇게

                              될 줄은 전혀 몰랐을 것이다.

 

                              자산과는 절대 상관이 없는 이야기라고 믿고 싶겠지만,

                              그것은 희망 사항일 뿐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두고 보면 안다.

 

                              그래도 어쩌랴 내 정신 가지고 사는 동안에라도

                              돈 아끼지 말고 먹고 싶은 것 먹고 가고 싶은 곳 가보고

                              보고 싶은 것 보고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좋은 친구들과

                              즐겁고 재미있게 살다 가야지 기적 같은 세상을 헛되이

                              낼 수는 없지 않은가?

 

                                                                 <카톡으로 온 동영상의 글>

 

 

 

 

오래전에 한 상가 안에서 같이 장사를 하던 분이 처음으로 카톡으로 위의 글이 담긴 동영상을 보내왔다. 그분이 지금 어느 곳에 계신지 알지 못한다. IMF를 맞아 장사를 접고 이곳을 떠났던 분이다. 그분은 나보다 서너 살 위이다. 인생의 황혼기에 스스로 위안 삼고자 하신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나에게 위안을 삼아보라는 뜻으로 보내온 것이리라. 두 딸을 둔 나와 그분은 무남독녀 외동딸을 두었다. 그분이나 나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있으니, 보낸 동영상을 보고 적적한 황혼기에 위안이나 삼으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듯하다.

 

 

 

 

불과 십오 육 년 전만 해도 부모님을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모시는 것을 불효자식처럼 생각하던 시대였는데, 그래서 모셔도 아무도 모르게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모셨던 시대에서 이제는 연로하면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모시는 것이 불효를 뜻하는 것이 아닌 시대인 것이다. 시대가 그렇게 만드는 것을 아들이나 딸이나 뭐 다를 것이 있겠는가.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맡기는 자식이나 그곳에 가고 싶지 않아도 갈 수밖에 없는 당사자나 다 인생의 한 과정이 아니더냐. 인생은 혼자 왔다 혼자 가는 것이 자연의 현상이다.

 

 

 

우리는 사는 동안 가족이란 울타리를 만들어 외로움을 조금 덜었을 뿐이며 남편이나 아내나 아들이나 딸이나 각자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 뿐이 아니더냐. 인생은 그 누가 살아 주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우리의 인생은 내일을 사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것이고 지금, 이 순간을 사는 것이다. 내일은 우리에게 영원히 오지 않는다. 언제가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을 갈지라도 오직 이 순간을 만끽하며 즐기는 것이 인생이다. 오지도 않은 내일 일을 걱정하며 이 순간을 살지 못한다면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있는 것보다 더 불행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