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봄소식 전해주는 매화

心田農夫 2021. 2. 2. 17:03

                                             시샘

 

 

                                            봄 처녀

                                            사뿐 오시는 길목

                                            동장군

                                            심술궂은 시샘으로

                                            눈꽃 휘날리며 길목 막아서네

 

                                           인간만이

                                           시샘이 있나 하였더니

                                           계절도

                                           시샘이 있다 하더이다

 

                                           막는다 한들

                                           오는 시절 되돌아가랴?

                                           동장군 하얀 눈꽃 시샘에도

 

                                           봄 처녀

                                           매화 가지에 살포시 내려앉자

                                           철없는 동장군 시샘에 배시시 웃음 짓네

 

철길 숲 산책길 옆에 있는 배화나무에 꽃이 피기 시작했다.1월 31일>

 

1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점심을 먹고 집에서 좀 떨어진 거리의 철길 숲으로 산책에 나섰다. 5일 근무제가 도입되고 직장에 근무하는 회사원들과 공무원들은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만 근무하지만, 자영업을 하는 처지에서는 토요일에 쉴 수가 없다. 그래도 지금은 낫은 편이다. 전에는 쉬는 날이 없이 365일 영업을 하다 같은 업종의 협회에서 첫째, 셋째 일요일만 점포 문을 닫고 쉬기로 정하고 나서 한 달에 두 번의 휴무일을 가졌었다. 그러나 요즈음 일요일에 문을 열어도 손님이 없다 보니 차라리 휴식을 취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으로 일요일에는 점포 문을 열지 않는다. 토요일은 퇴근하여 저녁을 먹고 새벽 1~2시까지 책을 보고 출근을 하지 않는 일요일이라 모처럼 늦잠도 자고 편안한 마음으로 하루 쉰다.

 

 

<철길 숲 산책길과 가운데 물길>

 

 

철길 숲은 미군의 유류 저장고에 유류를 실어나르던 철길로 미군이 이전으로 철수하고 유류 저장고가 폐쇄되자 철길을 따라 숲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산책로 조성한 곳이다. 숲길 옆에는 아파트도 있고 도로도 있지만, 소란스럽지 않고 조용히 사색하며 산책하기에 안성맞춤이다. 철길 숲길 시작하는 곳에서 조성된 숲길 끝까지 가려면 제법 시간이 걸리는 거리기에 집에서 왕복 1시간 40분 정도의 거리만 걷다 온다. 산책로 군데군데 의자가 있어. 마오 병에 커피를 담아가 잠시 쉬면서 커피 한잔 음미하며 휴식을 만끽한다.

 

 

<철길 숲 자전거길>

 

 

1월의 끝자락이라 아직은 쌀쌀하고 분명히 겨울이건만, 철길 숲 산책로 옆에 나란히 들어선 나무들 사이에 매화나무가 꽃을 활짝 피우고 있었다. 계절상으로는 아직도 봄이 오려면 2월 한 달은 지나야 할 텐데, 햇빛이 많이 드는 양지쪽이라 그런지 소담스러운 매화가 제법 많이 가지 위에 다소곳이 앉자 하얀 웃음을 산책하는 사람들에게 선사하고 있었다. 점점 도시가 아파트 숲으로 변하여 가는 요즈음에 도시 속에 이런 산책로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지, 자연과 인간은 떨어져 살 수 없다는 진리를 깨달을 수 있는 철길 숲이다.

 

 

<철길 숲 자전거길>

 

                                        봄이 제일 먼저 오는 곳은 사람들이 가꾸는 꽃 뜰이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들판이라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시선을 빼앗는 꽃이 아니라 이름 없는 잡초라는

                                        사실이 더욱 놀랐습니다.

 

                                                                         신영복의 『처음처럼』 중에서

 

 

 

'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는 날의 사색  (0) 2021.03.06
그가 그리운 날이다  (0) 2021.02.08
마음 치유법, 글쓰기와 독서  (0) 2021.02.01
탁상공론 행정명령  (0) 2021.01.30
인생이란 고립무원이 아니던가?  (0) 202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