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달력, 그 속의 사진들

心田農夫 2009. 12. 21. 16:14

책을 보고 있는데

택배 회사 직원이 물건을 가져다준다.

방금 전해 받은 물건은 달력이다.

 

인터넷으로 책을 주문하는 나는

그날도 책을 주문하기 위해서 인터넷서점을 연결을 했는데,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하는 2010년 달력”이라는 구호와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하는 2010년 달력“을 한정 판매 한다는

내용의 창이 뜨기에 보다가 주문을 했다.

 

주문을 한지가 일주일쯤 지난 것 같은데, 이제야 도착을 했다.

 

한 달 전쯤에 제목에 관심을 가지고 노무현 대통령이 준비하다

미완으로 끝난 책

「진보의 미래」를 구입하여 보았다.

 

‘진보의 미래’라는 제목은 나의 전공과도 관계가 있고

좌파, 우파, 신자유주의, 사회투자국가, 등등

근래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라 내용이 궁금하여 구입을 하였는데

참으로 잘 구입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대통령들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면 쓰신다는 책들이 자서전이던데,

 

「진보의 미래」는 대통령을 하시면서 느꼈던 경험과

퇴임 후에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가 잘 살 수 있을까? 하는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책으로나마 답을 찾아서

백성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전직 대통형의 간절한 마음이 담긴

책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책의 내용은

책의 방향설정을 위해 간단히 적으셨던 주제들, 메모들을

전반부에, 후반부는

책을 같이 내기 위해서 함께 하셨던 분들과

회의? 좌담회? 에서 하셨던

노무현 대통령의 육성을 글로 옮겨 후반부에 실었다.

 

책을 읽으면서

대통령 당신이 손수 완성을 했다면, 하는 아쉬움과

정말 귀중한 책,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소중한 책이 될 수 있었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계속 들었다.

 

그 책은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책을 만들려고 했던 분들에 의해서

「진보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탄생되었고

2편, 3편이 나오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기대를 해본다.

얼마만큼 고인이 가지고 있던 생각, 그 분이 쓰시려고 했던 내용을

충실히 담아 펴낼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을 갖고

2편, 3편의 책이 나오기를 기대를 하고 있다.

 

달력을 보며,

그 속에서 그 분의 사진을 보면서

불운한 대한민국, 불행한 국민들이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본다.

 

 

                                  < 달력을 담아온 봉투에 적힌글>

                                    

 

 

                                                                                                                 < 표지 >

                                                                                               

 

                                                                                                                  < 1월 >

                                                                                     노무현은 겸손한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저 멀리 높은 곳에 있는 권력자가 아니라,

                                                                                           언제나 가까운 곳에 있겠습니다.

                                                                       여러분이 손을 내밀면 잡을 수 있는 곳에 있겠습니다.

 

 

    < 2월 >

    많은 이들이 지도자는 고독하다는 말을 진실로 믿는데 지도자는 고독한가요? 이건 아닙니다. 그렇게 하면 안됩니다.

    과거 권위주의적, 전제주의적 시대에 지도자는 고독했습니다. 그러나 지금 지도자는 외롭지 않아야 합니다.

 

 

                                                                                                                  < 3월 >

                                          저는 많이 부족한 사람입니다. 제가 대통령이 된 것은 제가 잘나서 된 것이 아닙니다.

                    새로운 정치, 새로운 시대를 요구하는 국민의 여망과 시대의 물결이 저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대통령이 되고자 했던 것은 권력을 누리고, 위세를 부리기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리 정치가 바뀌어야 나라가 발전하고 국민이 행복해진다는 신념이었습니다.

                                                       제 자신 정치인으로서 성공하지는 못하더라도 그 신념이 이루어 진다면,

                                                                                            저는 더이상 바라지 않겠습니다.

 

 

    < 4월 >

   우린 그래도 남들은 흔히 갖기 어려운 아름다운 추억을

   가지고 있다. 몇 킬로미터나 이어지는 뚝길을 걸으면서

   밤이 이슥하도록 함께 돌아다녔다.

   늦여름 밤하늘의 은하수는 유난히도 아름다웠고

   논길을 걷노라면 벼 이삭에 맺힌 이슬이 달빛에 반사되어

   들판 가득히 은구슬을 뿌려놓은 것만 같았다.

 

 

                                                                                                                  < 5월 >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

 

 

    < 6월 > 

    나중에 우리 농장 한 번 보세요, 아니면 뒤의 숲을 한번 봐주세요, 또 화포천을 한번 봐주세요,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말하자면 도시에 살던 사람들이나 또는 다른 마을에 살던 사람들이 와서 보고 그거 괜찮다 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생태환경을 최대한 복원시켜 보고 싶습니다.

 

 

                                                                                                                 < 7 월 >

                                                          가장 큰 고민은 유치원 어린이들이 대통령 뭐하는 사람이냐? 이러면

                                                                '아, 그 밀짚모자 쓰고 돌아다니는 사람' 이라고 하는 겁니다.

.

 

    < 8월 >

    할아버지가 손녀에게 줄 수 있는, 우리 세대가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은

    어릴 때 개구리 잡고, 가제 잡던 마을을 다시 복원시켜서 아이들에게 물려주는 것이

    제일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9월 > 

                                                                                제가 아직 어디 가서 어른 노릇을 못 합니다.

                                                                                       밥그릇이 제게 먼저 오면 어색해하죠.

                                                                           대통령 5년 하는 동안 그래서 고생 많이 했습니다.

 

 

    < 10월 >

   대통령이라면 제왕적 권위를 갖추고

   위세를 부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고가 있다.

   혁파되어야 할 낡은 사고이다.

   그러한 생각이 바로 역사 진보의 발목을 잡고 있다.

 

 

                                                                                                                 < 11월 >

                                                                                             그 람이 걸어온 과거을 보아야

                                                                                    그 사람이 걸어갈 미래가 보이는 법이다.

 

 

    < 12월 >

    저는 따뜻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달력 속,

한 쪽에 적혀있는 글들이다.

 

잘은 모르겠지만,

대통령께서 생존에 하셨던 말씀들인 것 같다.

말씀 속에서 서민의 냄새가 물씬 물씬 풍긴다.

 

나는 정치에 대하여 잘 모른다.

그 분이 대통령으로써 올바른 정책으로 올바른 정치를 했는지,

아니면 그릇된 정책으로 바르지 못한 정치를 했는지,

솔직히, 나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그 분은

지역 타파를 위해서 힘써왔고,

민주주의를 실천하려고 하였다는 것만은 알 수 있다.

 

이제 그 분은 가셨다.

그분의 평가는

오직 사학자들의 몫으로 돌리고 싶다.

그리고 사학자들은 우리들이 이 세상에 없을 때

 

그 분에 대하여

올바른 판단으로 기록한 역사를

우리의 후손들에게 전하여 주리라 생각을 한다.

 

'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흔  (0) 2009.12.31
자판에 손가락 가는대로  (0) 2009.12.23
역시 탁상행정이구나  (0) 2009.12.03
11월을 보내면서  (0) 2009.12.01
세월이 그린 얼굴  (0) 200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