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우리 사회는 또한 분의 스승을 잃었다.

心田農夫 2016. 1. 16. 17:50

 

   <사진은 인터넷에서 인용함, 저작권에 침해가 있다면, 연락바랍니다. 바로 삭제 하겠습니다.>

 

우리시대의 고뇌와 양심.

영인본 엽서(1993) 서문

 

20년의 옥고를 치르고 우리들 앞에 나타난 그를 처음 만났을 때 우리는 그의 변함없는 모습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그가 가족에게 보낸 편지를 모아서 출판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었을 때 그의 조용하면서도 견고한 정신의 영역에 대하여 다시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우리는 생각했다. 그의 긴 암묵의 세월을 견디게 하고 지탱해준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의 20년과 비교한 우리들 20년은 어떠한 것이었던가를 스스로 돌이켜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더욱 놀라웠던 것은 그 엽서들의 초고를 보았을 때의 충격이었다. 작은 엽서 속에 한자 한자 또박또박 박아 쓴 글씨는 그가 인고해온 힘든 하루하루인 듯 그 글을 결코 범상한 마음으로 대하게 하였다. 그가 엽서에 담으려고 했던 것이 단지 그의 아픔뿐만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고뇌와 양심이었다는 사실에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신영복의 엽서서문 중에서 일부 인용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1969년 엽서15쪽>

 

                                            ( 오늘은 다만 내일을 기다리는 날입니다.

                                             오늘은 어제의 내일입니다.

                                             내일은 또 내일의 오늘 일 뿐입니다.

 

                                             智惠女神미네르바의 부엉이는

                                             夕陽에 날기 시작한다.)

 

 

출근을 미루고 치과에 예악이 있어서 갔다가 치료 차례가 되어 치료실의자에 앉아 치료를 기다리며 앞에 있는 TV에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저자 신영복 별세라는 하단의 소식을 보면서 아! 하는 짧은 신음을 토했다. 상식이 통하지 않는 우리 사회에서 양심을 지닌 한분의 스승이었던 그 분이 떠났다는 소식을 나에게 충격이요, 정말 가슴 아픈 슬픈 소식이었다.

 

자신들이 만든 법을 지키지 않는 국회와 국회의원들, 자신들이 투표하여 선출한 국회의 원내대표를 대통령의 한마디로 내치는 정당과 정당원들, 자신들이 선거를 통하여 선출한 대표가 자신의 마음에 않든 다하여 임기가 엄연히 남아있는데도 대표직에서 사임하라고 흔들어대다 안 되니 탈당하여 새로운 당을 만드는 몰염치한 정치인들,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1969년 엽서』16쪽>

 

                                                o 오늘은 내일을 기다리는 날이 아니라

                                                    오늘은 내일을 가꾸는 날이다.

 

                                               o 은 나에게 思索

                                                   隔離는 나에게 自由

                                                   赤裸는 나에게 純粹

                                                   그리고

                                                   세상은 아직도 나에게 食事를 준다.

 

                                               o 0.7평의 四角天井

                                  0.7평의 四角마루바닥이

                                                   이루는 地下空簡 속에서

                                                   半年의 목마른 冬眼

                                                   이제 三月의 봄을 맞이한다.

 

                                               o 밤이면 모시수건처럼 청결한

                                                   꿈을 펴놓고 그리운 사람들을

                                                  기다리면, 멀리서 보리피리소리

                                                 「보리피리 불며 필릴리,

                                                  人間事 그리워 필릴리

 

 

 

오늘 여러분과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위악과 위선의 문제입니다. 위악이 약자의 의상(衣裳)이라 한다면, 위선은 강자의 의상입니다. 의상은 의상이되 위장(僞裝)입니다. 겉으로 드러내는 것일 뿐이 그 본질이 아닙니다.

 

우리가 자주 보는 시위 현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붉은 머리띠를 두르고 있습니다. 붉은 머리띠, 문신입니다. 단결과 전의(戰意)를 과시하는 약자의 위악적 표현입니다. 강자들의 현장은 법정입니다. 검은 법의(法衣)의 엄숙성과 정숙성이 압도합니다. 시위현장의 소란과 대조적입니다.

                                                               신영복의 엽서중에서

                                                                 

 

먹고 살길이 막막한 70대의 노인이 결혼식장에 30여만의 축의금을 훔치다 절도로 걸렸는데 3년의 실혈을 선고하면서 350억을 횡령한 기업의 재벌총수에게는 징역 16월에 집행유해 3년의 선고로 풀어주는 유전무죄 무전유죄란 말을 순산한 법원

 

 

 

                                                            <대전교도소 1980년6월 16일 엽서』136쪽

 

                                                                  兄嫂前上書

 

                                                                 넓직한 응달에

                                                                꼬마들과 어울려

                                                                관운장과 장비가

                                                                말을 달리는

                                                                三國志얘기가

                                                                재미있을 듯합니다.

 

 

                                                               어머님께서는

                                                               다녀가셨습니다.

                                      64돈 받았

                                                               읍니다.

                                                               그리고, 형님소식도

                                                               들었습니다.

 

                                                                     유월 십육일

                                                                             삼촌 드림.

 

 

 

엄벌과 공포는 사회를 경직시킵니다. 반대로 참여와 소통은 많은 사람들의 잠재력을 고양하고 사회를 역량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와 소통 구조는 자칫 썰매 위의 자리(저자는 권력의 자리를 말함이다)가 침범될 수 있다는 불안 때문에,

 

그리고 사회란 원래 썰매의 위아래가 엄연히 구분되어 있는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약한 개를 채찍으로 때려 왔습니다. 법과 정의 그리고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어 왔습니다. 그것이 강자의 위선입니다.  

                                                       신영복의 엽서중에서

 

 

사회가 이렇게 돌아가다 보미 이제 한참 진실을 배우고 정의를 알아야 하는 청소년들이 10억 원을 사기로 얻고 1년의 형을 산다면 그래도 사기를 치겠느냐는 질문에 초등학생의 17%, 중학교학생 39%, 고등학생 56%가 사기행각을 하겠다고 답변을 했다지. 이리 봐도 저리 봐도 도무지 상식이 통하지 않는 이 나라.

 

수백 명의 아이들을 수장시켜놓고 청문회에 참석한 사람이 아이들이 철이 없어서 구조를 못했다.”라 말하는 공무원이 있는 나라. 사회복지 예산은 줄이면서, 대통령의 공약인 누리가정 예산을 중앙정부가 내야 한다. 지방정부가 내야 한다고 다투면서 미래 교육에 투자에 대하여는 소극적이면서도

 

북한을 빌미로 내세워 국민의 세금으로 국민을 위한 복지는 줄이면서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무기를 구매하면서도 방산비리를 저지르는 고위층의 횡포도 적당히 넘어가는 나라. 이글을 쓰다 보니 신영복선생의 말씀이 떠오른다. 전쟁에 드는 비용을 치국(治國)에 사용한다면 그 공은 몇 배가 될 것이다.”(담론167)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1969년 엽서』25 쪽>

 

                            역사적 大河 속에 흔연히 뛰어 둘 때 비로소

                            문학예술은 古來의 그 환락의 수단이던 娼女

                                오역을 씻을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위선이 미덕으로, 위악이 범죄로 재단되는 것입니다. 그것 역시 강자의 논리입니다. 테러는 파괴와 살인이고 전쟁은 평화와 정의라는 논리가 바로 강자의 위선입니다. 테러가 약자의 전쟁이라면, 전쟁은 강자의 테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현실은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모순된 조어가 버젓이 통용되고 있습니다.

                                                                신영복의 엽서중에서

                                                      

  

이런 나라이다 보니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사건에서 자식을 잃은 부모가 나라에서 받은 훈장도 반납하고 이런 나라에서 더 이상 살수가 없다며 나라를 버리고 떠나는 국민마저 생기는 나라. 고위 공직자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방의 의무는 이행해서는 안 되고, 다운 계약서작성은 필수, 위장전입 용납, 불법 뇌물은 살짝 눈감아 주며 고위 공직자로 임명하는 나라.

 

이런 나라 이런 사회를 위해 고뇌하고 양심의 지표가 되었던 그분, 자신의 몸을 20년이나 교도소에 잡아 두었던 권력에 대해 원망의 말 한마디 않으시면서 젊은이들에게 희망과 꿈을 심어주던 그 분은 2014년 희귀 피부암진단을 받으면서 그해 겨울학기를 마지막으로 강단을 떠나셨던 그분은 앞으로 강단에 서지 못하는 미안함을 이 책으로 대신한다.”고 말하면서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라는 부재를 단 담론으로 우리에게 크나큰 가르침을 주셨던 성공회대학교 신영복 석좌교수의 별세는 우리사회의 또 하나의 커다란 손실이요 상실이 아니겠는가?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1969년 엽서』17쪽>

 

                                        길을 걷다가 골목이 꺽이는 길모퉁이 같은 데서

                                        재빨리 뒤를 돌아다보라, 거기 당신의 등뒤에

                                        당신을 지켜주는 손이 있다. 어머니의 손같은,

                                        친구의 손 같은…․

 

 

생각하면 여행만 여행이 아니라 우리의 삶 하루하루가 여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소통과 변화는 모든 살아 있는 생명의 존재 형식입니다. 부단히 만나고, 부단히 소통하고, 부단히 변화라는 것이 우리의 삶입니다.

                                ----------- 중략 ----------

떠남과 만남과 돌아옴 중에서 가장 결정적인 것은 만남입니다. 다른 사람과의 만남 그리고 자기와의 만남입니다. 떠나는 것도 그것을 위한 것입니다.

                                                                           신영복의 엽서중에서 

 

이 지구라는 별에 태어나기 전에 어느 별에서 살다 왔는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이 세상 끝나고 다음 세상을 살아갈 별이 어디인지 우리는 그 또한 알 수 없다. 어쩌면 다음 생을 살 수 있는 별을 알 수 없음에 죽음이라는 머나먼 저승으로의 여행을 두려워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자기와의 만남을 위해 떠나는 여행 그것이 바로 죽음이 아닐까. 선생님의 글을 적으며 생각을 해본다.

 

당신에게 띄우는 마지막 엽서를 앞에 놓고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엽서 대신 파란 색종이 한 장 띄우기로 했습니다. 나는 당신이 언젠가 이곳에 서서 강물의 끝과 바다의 시작을 바라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당신이 받은 색종이에 담긴 바다의 이야기를 읽어주기를 바랍니다.

 

그동안 우리의 국토와 역사의 뒤안길을 걸어왔던 나의 작은 발길도 생각하면 바다로 향하는 강물의 여정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나는 마지막 엽서를 당신이 내게 띄울 몫으로 이곳에 남겨두고 떠납니다. 강물이 바다에게 띄우는 이야기를 듣고 싶기 때문입니다.

                                                                                      신영복의 나무야, 나무야중에서

                                                                                        

 

 

                                                                           <사진은 인터넷에서 인용함, 저작권에 침해가 있다면,

                                                                                                                     연락바랍니다. 바로 삭제 하겠습니다.>

 

 

           고인이 되어 머나먼 미지의 여행을 떠나시는 신영복 선생님의 명복을 진심으로 빕니다.

                             

 

 

28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