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대하여 생각하기

이순(耳順)과 종심(從心) 사이에서 새로 시작한다.

心田農夫 2018. 1. 4. 17:34

                                               정직한 도전

                                               도전한다는 것은 거창한 일이 아니다.

                                               단지 앞으로 나아감을 뜻한다.

                                               뒷걸음질 치지 않거나 제자리걸음을 하지 않고

                                               한 발자국 앞으로 내디뎌 걸음을 지속시키는 일,

                                               그것이 바로 도전이다.

 

                                                       고도원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중에서

 

 

 

 

 

 

 

군대생활을 하던 시절 제대가 가까울수록 더디만 가는 시간을 탓하면, 후배들이 그래도 국방부시계는 흘러갑니다. 하던 옛일이 생각하며 합격자 발표일 까지 15일간을 기다렸다. 최선을 다하고 기라리던 날, 1228일 목요일. 출근을 하여 청소를 하고 컴퓨터를 부팅하고 인터넷을 연결해 지원한 대학교홈페이지 접속하였다.조금은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합격자 발표란을 클릭 하니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뜬다. 입력을 하니 하나의 창이 뜨면서 그 하단에 합격일란 단어가 눈에 들어온다.

 

 

 

 

 

 

 

 

우리는 인생을 마라톤에 자주 비교하고는 한다. 마라톤에 비교한다면 지금 나는 선수로 자격을 부여받고 출발선 앞에 서있다. 마라톤은 42.195Km라는 거리가 주어지며 그 거리를 달려서 결승선에 도달하여야 완주로 인정을 받는 것처럼 지금 배움의 문턱에 서서 그 문을 넘어 출발을 하게 되면 4~5년이란 시간을 손엔 펜을 쥐고 책을 보면서 정진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결코 짧다할 수 없는 시간 5년 젊은 사람들에겐 길다 할 수 없겠지만 지금 나의 나이에는 길고 긴 시간임에 틀림이 없다.

  

 

 

 

 

 

 

 

한 학기 9학점씩 4학기를 모두 이수해야 하고 그 다음엔 외국어 시험이 두 번에 결처 있다. 공통인 영어시험 하나에 제 2외국어 시험이라는 전공어 시험을 치러 통과하고 나면 또 하나의 산인 종합시험이 기다리고 있다. 종합시험인 전공공통시험과 전공 선택시험을 힘들게 통과하고 나면 논문의 장벽이 떡하니 버티고 서있다. 장벽 중 가장 높다는 논문의 장벽을 넘어야만 졸업이란 자격이 주어진다. 논문은 쓰면서 다섯 분의 심사위원들에게 세 번의 심사과정을 거쳐서 통과해야만 하는 과정 때문에 제일 높은 장벽이라는 것이다. 논문을 쓰지 않으면 수료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학력으로 인정을 해 주시 않는 것이다. 오직 논문을 쓰고 통과되어야만 졸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순(耳順) 이란 공자의 논어에 육십이이순(六十而耳順) 이라 하여 인생에 경륜이 쌓이고 사려(思慮)와 판단(判斷)이 성숙하여 남의 말을 받아들이는 나이라 하였고, 종심(從心) 이란 뜻대로 행하여도 도리(道里)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나이로 공자의 논어(論語)에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 라 하였다. 이 이순과 종심의 중간에 서서 한 번도 걸어보지 않은 길을 가기로 마음을 정하고 이제 그 출발선에 섰다. 백세시대라 하지만 이 나이가 되니 두 눈은 침침해지기 시작하였고 기억력 또한 차즘 떨어지고 체력은 점점 저하되는 이시기에 나는 다시 도전을 하려고 한다.

 

  

 

 

 

 

 

마라톤의 출발선 앞에 선 사람들은 누구나 결승선을 통과하여 완주를 목표로 출발선 앞에 서서 출발 신호를 기다리듯 나 역시 수료가 아닌 졸업을 목표로 두고 지금 입학식을 기다리고 있다. 2년의 학기를 하면서 36학점을 이수하고 논문을 2년에서 3년에 마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나의 생각이요 계획이지만, 학점을, 외국어 시험을, 종합시험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까? 그리고 논문도 2~3년의 계획을 잡고 있지만 그 안에 끝낼 수 있을까? 젊은 나이에 도전하는 사람들도 무엇 하나 쉽지 않다하는데, 지금의 내 나이를 생각하면 과연 건강이 따라줄까 걱정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걱정을 접어두고 최종종착역까지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며 가려고 한다.

 

 

 

 

 

                     위 삽화들은 지현 스님의 <스님의 논문법>중에서 인용함

 

  

 

                                  걸어보지 못한 길

 

                                                                   로버트 프로스트

 

                                          노란 숲 속 두 갈래길

                                          나그네 한 몸으로

                                         구 길 다 가 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덤불 속 굽어든 길을

                                         저 멀리 오래도록 바라보았네

 

                                         그러다 다른 길을 택했네

                                         두 길 모두 아름다웠지만

                                         사람이 밟지 않은 길이 더 끌렀던 것일까

                                         두 길 모두 사람의 흔적은

                                         비슷해 보았자만

                                        그래도 그날 아침에는 두 길 모두

                                         아무도 밟지 않은 낙엽에 묻혀 있었네

                                         나는 언젠가를 위해 하나의 길을 남겨 두기로 했어

                                         하지만 길은 길로 이어지는 법

                                         되돌아올 수 없음을 알고 있었지

 

                                         먼 훗날 나는 어디선가

                                         한숨지으며 말하겠지

                                         언제가 숲에서 두 갈래 길을 만났을 때

                                         사람들이 잘 가지 않는 길을 갔었노라고

                                        그래서 모든 게 달라졌다고

 

 

 

28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