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 담아두기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낀다 말하지 않을까?

心田農夫 2018. 7. 19. 13:13

                              “김일성만세(金日成萬歲)”

 

                                                                                         김수영

 

                               “김일성만세

                                                  한국의 언론 자유의 출발은 이것을

                                                  인정하는 데 있는데

 

                                                  이것만 인정하면 되는데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한국

                                                  언론의 자유라고 조지훈이란

                                                  시인이 우겨 대니

 

                                                  나는 잠이 올 수밖에

 

                              “김일성만세

                                                  한국의 언론 자유의 출발은 이것을

                                                  인정하는 데 있는데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한국

                                                  정치의 자유라고 장면이란

                                                  관리가 우겨 대니

 

                                                  나는 잠이 깰 수밖에

  

 

 

                                                                         

                                                                      (최일영에게 받은 초상과 메모)

 

 

내가 김수영 시인을 접하게 된 동기는 몇 년 전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보게 된 <김수영 이어령 논쟁>이라는 글을 읽고 나서였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두 사람은 1968년 조선일보 등을 통해 8차례에 걸쳐 펼쳐 던 논쟁은 세상에 이목을 끌었던 모양이다. 나 역시 큰 관심을 두게 되었고 자료를 찾아서 총 8년의 논쟁을 프린트해서 읽었고 갖고 있다. 그 논쟁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문학계의 거장인 이어령과 논쟁을 한 사람에 관한 관심이었다. 그래서 김수영에 대하여 알고 싶어 김수영에 관한 책을 구매해 읽으면서 위의 시도 알게 되었다.

 

김수영에 대해 알아갈수록 나의 마음은 김수영에게 사로잡혀가기 시작했다. 그러다 올 201822831쇄로 펴낸 김수영 전집을 구매했다. 구매하여 놓고 다시 학생의 신분으로 학교생활을 하느라 아직 다 읽지는 못하고 1김수영 전집 시을 책상 옆에 두고 매일 한두 편의 시를 음미하고 있다.

 

 

                                                                 

                                                                     (김영주가 그린 김수영의 캐리커처)

                                                              

 

위의 시는 1960105일 날 쓴 시이다. 1960년대라면 독재정권의 권력이 무소불위(無所不爲)로 서슬 퍼런 시절이었다. 그런 시절에 적대국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의 김일성 대한 시를 그것도 <김일성만세>라는 시를 쓸 수 있는 용기, 아마도 그것은 목숨이라도 내놓겠다는 각오가 없이는 발표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송정오장송가(松井伍長頌歌)>를 지어 일본에 아부하면 조선의 청년들을 죽음으로 내몰며 저승사자 되기를 마다하지 않았고 광복이 되어서는 호의호식하면서도 <전두환 대통령 각하 56회 탄신일에 드리는 송시>를 쓴 친일파 미당 서정주에 비하면 대단한 용기가 아닌가. 아쉬운 점은 그런 김수영 시인이 그 천재적인 재능을 마음껏 발휘 못 하고 일찍 그 명을 다하였다는 것이다.

 

 

 

        

                                                     (김영주가 그린 김수영의 캐리커처)

 

                                         

그는 1921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나 혼란한 시기를 살아가면서도 현실과 정치를 직시하며 적극적인 태도로 시, 시론, 시평 등을 잡지와 신문 등에 발표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을 하다 1968615일 밤 귀갓길에 집 근처에서 버스에 치여 머리를 심하게 다쳤고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추론이기는 하지만, 사고가 아닌 음모에 의한 사고를 가장한 테러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이후 우리는 얼마나 북한에 대해서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었나? 지난 정부들은 안보를 내세워 국민의 눈을 기리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400만 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 북한이라는데, 요즈음 보수 언론들을 보면 아직도 타성에 젖어 거짓을 진실인 양 발표하고 있는 것을 보면 김수영 시인은 무엇이라 말을 할까? 궁금해진다. 김일성만세한국의 언론 자유의 출발은 이것을 인정하는 데 있는데, 말하던 김수영 시인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낀다고 말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