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살아가는이야기

자본주의 사랑?

心田農夫 2021. 10. 2. 15:10

                                                             사랑은

                                                   스스로 존재합니다.

                                                   빌려주거나

                                                   빌려오는 것이 아닙니다.

 

                                                   사랑만이

                                                   사랑을 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도,

                                                    무엇과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랑을 살 만큼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은

                                                   사랑을 길러낼 수 있는

                                                   충분한 마음이 있습니다.

 

                                                샤론 살스버그 지음, 김재성 옮김, 붓다의 러브레터중세서

 

 

 

위의 글을 읽으며 언제인가 TV에서 보았던 두 가지 내용이 떠올랐다. 한 사례는 이런 내용이었다. 결혼을 앞둔 청년이 서로 사랑을 하면서 7년간 교제한 여성에게 이제 우리 결혼을 하자고 결혼 제의를 하니까, 여성이 이렇게 답변했다는 것이다. 오래된 내용이라 수치가 정확한 기억은 아니지만, 40평형의 아파트에서 살아야 하고 자가용은 중형이상이어야 하고 한 달에 생활비로 500만 원 이상을 가져다주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우더라는 것이었다.

 

 

 

그 당시 그 청년은 IT 계열의 직장인으로 내가 보기에는 앞날이 유망한 청년으로 보였다. 그 청년은 카메라 앞에서 이런 말을 했다. 7년의 연애 기간에 왜 자신은 그녀의 참모습을 보지 못했는지 모르겠다고, 7년의 연애 기간은 결혼을 전제로 한 교재이었는데, 결국이 7년이란 세월을 낭비한 결과였다고 한탄을 하였다. 결국 그 청년을 그녀와 결혼을 포기하기로 마음을 정하고 7년간의 연애를 접기로 했다는 내용이었다.

 

 

 

역시 TV에서 보게 된 또 한 사례는 두 남녀가 결혼하기로 하고 양가 부모님과 친척을 모시고 약혼식을 하였다. 그런데 무슨 연유인지는 기억이 나지는 않는데, 파혼하는 일이 발생을 하였다. 신랑은 교제하면서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에게 사랑의 표현으로 수시로 선물을 하였는데, 그 선물들의 금액을 합산하여 계산하면, 1억이 조금 넘는 금액이었단다.

 

 

 

 

그래서 신랑은 파혼하고 결혼을 할 수 없게 되어 헤어지게 되었으니 자신이 준 선물을 돌려달라고 했고 신부 측에서는 결혼을 전재로 준 것이 아니라 선물로 준 것이니 돌려줄 수 없다고 하니, 신랑 측에서 신부 측을 상대로 법원에 1억 원을 돌려 달아는 소송을 제기했다는 뉴스였다. 이 두 사례를 보면 사랑은 금전적이지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너무나도 이기적인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자본주의에 물든 물질 만능의 사랑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언제가 어느 책에서 읽었던 구절이 떠오른다. 사랑이란 나의 목적을 위한 대상으로 필요로 하는 그가 아니다. 그의 있는 그대로의 그와 일체감을 느끼는 것을 우리는 사랑이라 부른다. 사랑은 누가 주고 누가 받는 것이 아니다. 한번 사랑하고 두 번 사랑하는 것도 아니다. 사랑은 끝임없은 대화이고 쉼 없는 서로의 영육의 교감이다. 사랑이란 사랑하는 존재의 생명과 성장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다. 이러한 적극적 관심이 부족한 곳에는 사랑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