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9

학연, 지연, 혈연사회의 비극

인간사회에는 누구든지-개인이든 집단이든–다른 사람의 행동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경우는 단 한 가지, 자기 보호를 위해 필요할 때뿐이다. 다른 사람에게 해(harm)를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면, 당사자의 의지에 반해 권력이 사용되는 것도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유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명사회에서 구성원의 자유를 침해하는 그 어떤 권력의 행사도 정당화될 수 없다. 자신의 물질적 또는 도덕적 이익(good)을 위한다는 명목 아래 간섭하는 것도 일절 허용되지 않는다. 인간은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것과 대립되는 것에는 쉽사리 관용을 베풀지 못하는 천성을 타고났다. 장소를 불문하고 종교적 믿음이 진지하고 강렬한 곳일수록 관용의 폭이 좁다.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중에서 충격적인 내용을 페..

마음을 비취어보는 거울이 있다면

성경에서 자비를 표현하는 세 단어가 있다. 첫째, 구약에서는 어머니의 마음을 뜻하는 ‘라하밈’이라는 히브리어가 사용된다. ‘어머니의 자궁’을 뜻하는 ‘레헴’에서 기원을 둔 이 단어는 자식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며 성장하도록 돕는 어머니의 마음을 의미한다. 자궁은 새 생명을 잉태하여 열 달을 담아 키우는 창조의 세계인 것이다. 그래서 자궁은 우주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렇게 출생한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은 시작도 끝도 없는 무궁무진한 사랑인 것이다. 그래서 여자는 약해도 어머니는 강하다는 말이 있는 것이리라. 그리고 어머니라는 말은 내 낳은 자식만의 어머니는 아니다. 어미가 없는 남의 자식의 어머니가 되어 젖을 물리며 키워왔던 유모(乳母)라는 이름의 어머니인 것이다. 둘째, ‘헤세드’..